반응형
git 과 연동하기
우리가 만든 App을 깃과 연동해봅시다.
git 을 다운 받는 것은 구글에 git 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cmd 창에 git --version 쳐서 제대로 버전이 출력되면 잘 설치된 거예요.
다시 VSCode로 돌아가서,
우리의 폴더에 git 파일을 만들어줍시다.

터미널 창에 git init 입력해주세요.
git init
이제 깃허브로 들어가서 레파지토리를 생성해봅시다.

깃허브 우측 상단에 + 버튼을 누르고 New repository 를 클릭해주세요.

적절한 Repository 이름을 지어주고, 주석도 달아준 뒤
아무것도 건드리지 말고 Create repository 해줬습니다.

그리고 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일건데,
빨간 직사각형에 해당하는 url 주소를 복사해주세요.
다시 VSCode로 돌아와서, 터미널 창에
git remote add origin 하고 아까 복사했던 링크를 붙여줍니다.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url
우선 저희는 모든 파일을 다 git 에 올릴 것이기 때문에,
git add . 을 해줍니다.

git add .
그리고 commit 을 하고, push 해줍니다.

git commit -m "2021/2/11_1"
-m 뒤의 문자열은 아무거나 넣어도 상관 없습니다.
git push origin master
이제 깃허브를 가서 새로고침 하면,
우리가 올리려고 했던 파일들이 깃허브에 그대로 올라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엑트 오류]white-web-sdk오류 Cannot set properties of undefined (setting 'type') (0) | 2025.03.05 |
|---|---|
| [React] Props란? 컴포넌트에 데이터 전달하는 프로퍼티 (0) | 2023.09.08 |
| [React] 실행오류 - npm ERR! code ENOENT(errno -4058) (1) |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