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5

카페24(절약형) 스프링부트 OutOfMemoryError: Metaspace 오류 해결

putty로 연결하여 카페24 톰켓서버 로그를 보았다.. 서버를 킬떄마다 서버가 안켜지는 것이였다. (JPA테이블은 생성되었기에 서버가 잘 동작되는줄 알았음..) tail -f catalina.log 였나.. 할튼 tail 명령어를 쓰면 카페 24 실시간으로 톰켓 로그를 볼 수 있다. 모르면 그것도 따로 구글링 하시고. 로그내용은 아래와 같았다..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04-Sep-2023 14:15:38.931 심각 [내아이디-startStop-1]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

Spring 2023.09.06

Submit(동기)과 Ajax(비동기) 차이

안녕하세요 개발자 루카입니다. 웹코딩을 하다보면 Ajax를 쓸 경우도 Submit을 쓸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두 가지의 방법을 모두 다 적절하게 사용을 하시는 것이 좋은데, 해당 소스를 개발하는 개발자가 어떤 방법을 더 선호하는지에 따라서 저 두 친구들의 사용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Ajax와 Submit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두 방법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조금 다른 친구들이니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Ajax를 많이 사용을 하는데, 이는 제가 작업하는 부분이 리로딩이 대부분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우선 Ajax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Ajax 기본적으로 Ajax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전송 및 처리를 비동기식 (Asynchronous) 방식으..

HTML,CSS (front) 2023.08.23

[Java] Random보단 SecureRandom 를 사용하자.

Random과 SecureRandom의 차이점1. Random일반적인 난수 생성기로, 의사 난수(pseudo-random number)를 생성한다.내부적으로 선형 합동 생성기(Linear Congruential Generator, LC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난수를 생성하며,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그러나 예측 가능한 시드(seed) 값을 기반으로 난수를 생성하므로, 보안적으로 안전하지 않다.예를 들어, 특정 시드 값이 주어지면 항상 동일한 난수 시퀀스가 생성된다.2. SecureRandom**암호학적으로 안전한 난수 생성기(CSPRNG, Cryptographically Secure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이다.내부적으로 SHA1PRNG, NativePRNG, DRBG ..

JAVA 2023.04.04

[ Database ] ER 다이어그램 / ERD 기호 및 표기법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과정에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ERD. ​ 이번 게시글에서는 ERD에 대해 다뤄보자. ​ ​ ​ ​ ERD '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 흔히 E-R 다이어그램이라고 불리우며 ERD 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 영어 약자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것(Entity)들의 관계(Relationship)을 나타낸 도표(Diagram)' 이다. ​ 여기서 말하는 존재하고 있는 것이란 데이터를 뜻하니 데이터들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인 셈이다. ​ 그럼 데이터의 관계를 어떻게 나타내는지 그림들을 참고해 이해해보자. ​ ​ 먼저 ERD의 규칙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A는 부모, B는 자식의 관계를 가진 ERD이다. 여기서 '~B로 구성되어 있다'라는 말이 살짝 헷갈..

DB 2023.03.14

ERD 식별관계 , 비식별관계 / 자연키,인조키 란?

ERD를 작성하다보니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정할 때 두 테이블의 관계가 식별관계인지 비식별관계인지 판단함에 어려움을 겪었다. 찾아본 여러 참조문서를 종합해 정리해놔야겠다. 우선 앞에 내가 앞에 작성했던 기본키(PK)와 외래키(FK)에 대한 글을 다시 한번 읽어 보았다. https://velog.io/@jch9537/DATABASE-PK-FK 기본키는 테이블의 하나의 행의 여러 정보들 중 이를 식별해 낼 수 있는 정보를 말하며 외래키는 테이블간의 관계(참조하는 테이블과 참조되는 테이블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외래키를 사용하여 참조하고 참조되는 두 테이블간의 관계에 따라 식별관계와 비식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식별관계를 살펴보자. 상품과 주문의 다대다 관계의 두 테이블이 있다. 상..

카테고리 없음 2023.03.14

Static import란?

JDK5에서 Static import가 추가되었다. Static import 사용법 먼저 static import를 적용하지 않은 일반 코드를 보자. Static import를 사용하지 않은 코드 (Math) int i = Math.abs(-20); double d = Math.acos(Math.PI) * Math.E;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import문 뒤에 static을 붙이고, {패키지.클래스.*} 혹은 {패키지.클래스.멤버} 를 적으면 된다. 위 코드를 static import를 사용하여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기본적인 static import 사용 (권장되지 않음) import static java.lang.Math.*; ... int i = abs(-20); double d = acos(..

Spring 2023.01.31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가 무엇일까?

찾아본 결과 Controller가 무엇인지 알기 전에 MVC 패턴에 대하여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MVC 패턴이란? MVC패턴은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로서 개발을 할 때 3가지 형태로 역학을 나누어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Model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을 할 것인지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즉 DB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나 사용자에게 출력할 데이터를 다룹니다. View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UI) Controller Model이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가 있으면 모델을 호출하기전에 적절히 가공을 하고 모델을 호출합니다. 그런다음 모델이 업무 수행을 완료하면 그결과를 가지고 View에게..

Spring 2023.01.27

[JAVA] 9. 다형성 / 객체지향적 이해, 다형성과 클래스, 다형성과 인터페이스

Chapter 9. 다형성 (Polymorphism) 다형성의 사전적 정의는 같은 종의 생물이지만 모습이나 특징이 고유한 특징이 다양한 성질을 의미한다. 단어의 뜻부터 어려운 이 다형성이 객체지향개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다형성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자바에서는 한 타입의 참조변수로 여러 타입의 객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함을 구현하는데 사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상클래스 타입의 참조변수로 자손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코드를 통해 이해하는게 더 빠를 것 같다. class A { public String x() { return "x"; } } class B extends A // class A를 상속받고 있는 class B { public..

JAVA 2022.05.21

JAVA에서의 메모리 관리 (Heap, Stack, Static )

JAVA에서의 메모리 영역은 크게 Heap, Stack, Static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Static 영역 하나의 JAVA 파일(Class)은 크게 필드(field), 생성자(constructor), 메소드(method)로 구성된다. 그 중 필드 부분에서 선언된 변수(전역변수)와 static키워드가 붙은 자료형 혹은 메소드는 Static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Static 영역의 데이터는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료가 될 때까지 메모리에 남아있게 된다. 다르게 말하면 전역변수가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한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역변수를 무분별하게 많이 사용하다 보면 메모리가 부족할 우려가 있어 필요한 변수만 사용할 필요가 있다. Stack 영역 https://dzone.co..

JAVA 2022.05.21

Submit과 Ajax의 차이를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소스를 만지작 거리다가 수정을 해야 할 소스가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해볼까 합니다. 웹코딩을 하다보면 Ajax를 쓸 경우도 Submit을 쓸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두 가지의 방법을 모두 다 적절하게 사용을 하시는 것이 좋은데, 해당 소스를 개발하는 개발자가 어떤 방법을 더 선호하는지에 따라서 저 두 친구들의 사용량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Ajax와 Submit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두 방법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조금 다른 친구들이니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Ajax를 많이 사용을 하는데, 이는 제가 작업하는 부분이 리로딩이 대부분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우선 Ajax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Ajax 기본적으로 Ajax는 서버와 클라이..

Spring 2022.05.20
반응형